티스토리

검색하기내 프로필

블로그 홈

나만의 공간

구독자
25

자연을 사랑하고 모든 생명을 존중 합니다

구독하기 방명록
신고

인기글

  • 좀작살나무 열매공감수3댓글수6조회 20
  • 솔채공감수1댓글수3조회 18
  • 아스타 ( Aster )공감수0댓글수3조회 9

주요 글 목록

  • 모두 떠난후글 내용

    그리 덥던 지난 여름에 담어놓고 잊었던 연꽃물가에 함께 했던 꽃들이 떠난후에 ,,,,

    좋아요0
    댓글1작성시간5시간 전
    게시글 이미지
  • 菊香글 내용

    성당 입구를 지나 오는데 진한 국향이 시선을 멈추게 한다.아침향기도 좋은데 국향마져 더하니 정신이 더욱 맑아지는 느낌이다

    좋아요1
    댓글3작성시간2025. 11. 5.
    게시글 이미지
  • 풍수원성당글 내용

    횡성 풍수원 천주교회(풍수원 성당)는 1800년대 초, 박해를 피해 경기도 용인에서 신태보(베드로)를 중심으로 한 40여 명의 신자들이 피난처를 찾아 정착한 곳이다. 풍수원 본당은 한때 춘천, 원주, 화천, 양구, 홍천, 횡성, 평창, 양평 등 12개 군의 29개 공소를 관할하였으며, 1896년 원주 본당의 분리를 시작으로 1920년에는 춘천 본당, 1948년에는 홍천 본당이 각각 분리되었다.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에 위치한 풍수원 성당은 1982년 강원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나지막한 언덕 위에 서남 방향으로 자리 잡은 본 성당 건물은 열주(列柱) 아케이드와 천장 구조에 의해 신랑과 측랑이 구분되는 삼랑식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 중앙에 돌출되어 위치한 주현관과, 2층의 원형 창, 3..

    좋아요1
    댓글3작성시간2025. 11. 5.
    게시글 이미지
  • 월드컵공원글 내용

    지난주에 담은 월드컵공원 단풍을 기대하고 가 보았는데 단풍은 아직이고 예전에 큰 꽃밭은 공사로몹시 어지럽혀 있었다그래도 인증샷을 남기고 싶어서 몇장을 담아왔는데 어제밤 기온이 내려가오늘은 단풍이 제대로 들었을것 갇다.

    좋아요3
    댓글4작성시간2025. 11. 3.
    게시글 이미지
  • 좀작살나무 열매글 내용

    분류 / 현화삭물문 목련강 꿀풀목 마편초과 작살나무속서식지 / 산지 숲 속 바위지대학명 / Callicarpa dichotoma (Lour.) K. Koch 국내분포 / 중부 이남해외분포 / 대만 일본 중국 전통적으로 지혈, 해독, 항산화, 항염, 항균 효과가 있다고 전해집니다.민간요법에서는 열매와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보라색 열매가 아름다워 가을철 정원이나 화단에 많이 심어집니다. 좀작살나무 열매는 생태적 미적 가치뿐 아니라 전통적으로 다양한 효능이 전해지나약용 활용 시에는 전문가 상담이 필요 합니다. .

    좋아요3
    댓글6작성시간2025. 10. 31.
    게시글 이미지
  • 아스타 ( Aster )글 내용

    분류 /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로롱꽃목 국화과 원산지 /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꽃색 / 파란색 보라색 분홍색개화기 / 여름과 가을 요약 국화과 참취속(Aster) 식물의 총칭. 대부분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한다.주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아름다운 꽃이 핀다.키우기 수월한 편이라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좋아요0
    댓글3작성시간2025. 10. 28.
    게시글 이미지
  • 솔채글 내용

    이 름 / 솔체꽃학 명 / Scabiosa comosa 영 명 / Northeastern scabious구 분 / 인동과 두해살이풀개화기 / 7-9월(종자:9월) 색 / 하늘색보라색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심어지며 꽃의 경우 민간 요법으로 전초보다는 청열 사화의 효능이 있다고 해서 간화로 인한 두통 발열 폐열에 의한 해수 황달 치료에 약용하기도 한다. 또한 피부 관련 질환에도 사용하기도 한다.어린 순은 나물로 식용이 가능하며이런 음식을 산증 이름으로 부르는데 찹살 가루등 곡물 가루와 섞어서 쪄 먹거나 튀겨 먹는 음식이다.

    좋아요1
    댓글3작성시간2025. 10. 26.
    게시글 이미지
  • 딱총 나무 열매글 내용

    딱총나무Korean Elder고려접골목 분류 / 현화식물문 목련강 산토끼목 연복초과 딱총나무속 서식지 / 숲 숲가장사리 학명 / Sambucus racemosa L. subsp. sieboldiana (Miq.) H. Hara 분포 / 남한전역 해외 / 일본 한국·중국·일본·우수리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관목으로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는 3m 정도이고 줄기의 속이 어두운 갈색이며 잎은 마주나고 2-3쌍의 작은잎으로 된 기수 1회 우상복엽이다. 작은잎은 길이 5-14cm로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날카롭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돌기가 있으며 짧은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화관은 황록색이 돌고 털이 없으며 꽃밥은 황색이고 열매는 핵과로 공 모양이며 7..

    좋아요0
    댓글4작성시간2025. 10. 24.
    게시글 이미지
  • 구절초 ( 九節草 )글 내용

    분류 /국화과 꽃색 / 흰색학명 /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개화기 / 9월~11월 이름의 유래는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 채취한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 하여 구절초라 한다. 줄기의 마디가 단오에는 다섯 중양절에는 아홉 마디가 된다는 뜻의 구와 중양절의 ,절, 혹은 꺽는다는 뜻의 절자를 써서 구절초라고 한다. 가을에 뿌리째 캐어서 말려서 약으로 쓴다. 산과 들에 저절로 나며, 우리나라,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좋아요2
    댓글6작성시간2025. 10. 21.
    게시글 이미지
  • 둥근잎 유홍초글 내용

    개화기 / 9월, 8월꽃색 / 붉은색 노란색국내분포 / 전국해외분포 / 아메리카 서식지 / 밭 길가꽃은 8~9월에 피고 홍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자라 그 끝에 3-5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깔때기 모양이며 지름 약 1.5cm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가시 같은 돌기로 되고 길이가 각각 다르다. 꽃부리는 판통이 길며 판연은 짧고 얕게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는 1개로서 꽃부리 밖으로 약간 나오며 수술대와 암술대는 주홍색이나 꽃밥과 암술머리는 흰색이다.

    좋아요1
    댓글2작성시간2025. 10. 19.
    게시글 이미지
  • 임진각에서글 내용

    추석날 임진각에는 어찌나 사람들이 많은지주차장에는 차들이 만차 파킹하려고 20분을 헤메다 겨우 화장실옆 빈공간에 세우고식당과 카페를 가보았는데 너무 사람들이 많어서 걍 ~문산 시내로 이동해서 점심 식사를 하고 오다.

    좋아요2
    댓글4작성시간2025. 10. 14.
    게시글 이미지
  • 자유로에서글 내용

    긴~~연휴가 킅 나는날 동생들과 임진각으로 나드리를 가다 보니길가에 백일홍이 곱게 피어서 차에서 내려서 담아오다.

    좋아요3
    댓글5작성시간2025. 10. 10.
    게시글 이미지
  • 불금초 ( 金佛草 )글 내용

    분류 / 현화식물문 국화목 국화과 금불초속서식지 / 햇볕이 잘드는 산지의 사면학명 / Inula britannica L.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분포 / 전국해외분포 / 중국 일본 러시아 여러해살이풀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00cm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가운데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마른다.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길이 5-10cm 폭 1-3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서 줄기를 반쯤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은 누운 털이 나고 잎자루는 없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고 머리모양꽃은 지름 3-4cm다. 꽃싸개잎은 여러 장 길이 1-4cm이며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지름 1..

    좋아요0
    댓글2작성시간2025. 10. 10.
    게시글 이미지
  • 벌개미취글 내용

    이 름:벌개미취 학 명:Aster koraiensis 영 명:Korean aster구 분:국화과 여러해살이풀개화기:6-10월(종자:10월) 보라색제주도에서 강원도이남까지 분포하며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키는 50~60cm이고, 잎은 앞으로 길게 뻗어 나며 끝이 뾰족하다.잎은 길이 12~19cm, 폭 1.5~3cm 가량이며 잎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고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잎이 작아진다.꽃은 6월에서 10월까지 피며 상층부의 꽃은 연한 자주색과 연한 보라색이며 줄기나 가지의 끝에 한 개씩 달린다.열매는 11월에 시든 꽃잎을 붙인 채 결실하며 길이는 4mm, 너비가 1.3mm 정도로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좋아요0
    댓글1작성시간2025. 10. 9.
    게시글 이미지
  • 오이풀 꽃글 내용

    분류 / 현화식물문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오이풀속서식지 / 숲 가장자리 풀밭학명 / Sanguisorba officinalis L.국내푼포 / 전국해외분포 / 유럽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세계적으로는 유럽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뿌리줄기는 굵으며 방추형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50cm다.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13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뿌리잎은 여러 장 잎자루가 길고 작은 잎에 6-30mm의 자루가 있으며 보통 턱잎이 있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 끝이 둥글고 잎 앞면은 짙은 녹색 윤이 난다. 꽃은 7-9월에 이삭꽃차례로 빽빽하게 달리며 진한 붉은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꽃차례는 곧추서며 원통형이다 꽃..

    좋아요1
    댓글3작성시간2025. 10. 7.
    게시글 이미지
  • 秋夕 메시지
    좋아요3
    댓글4작성시간2025. 10. 4.
    게시글 이미지
  • 누린내풀글 내용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고 생육환경은 비옥한 토지의 양지에서 자란다.키는 약 1m 정도이고 잎은 길이 8~13cm 폭 4~8cm로 넓은 난형이고 마주나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꽃은 벽자색이고 줄기에서 드문드문 피며 꽃이 필 때 고약한 냄새가 난다.줄기는 사각형으로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열매는 9~10월경에 맺으며 네 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길이가 약 0.4cm로 표면에 그물눈 무늬와 점이 있다.꽃 하단부에 흰 반점과 같은 것이 있으며 수술과 암술이 길게 화살 모양으로 나 있다.

    좋아요1
    댓글0작성시간2025. 10. 3.
    게시글 이미지
  • 가세쑥부쟁이글 내용

    숲 가장자리나 길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줄기는 높이 60-150cm이고 세로로 얕은 홈이 있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 잎은 일찍 말라 떨어진다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거의 없다.꽃은 7-10월에 줄기 끝에서 나온 꽃자루에 1개씩 머리모양꽃차례로 피며,꽃차례는 산방꽃차례에 붙는다.모인꽃싸개는 반구형이며 꽃싸개는 3줄로 붙는다.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좋아요1
    댓글0작성시간2025. 10. 3.
    게시글 이미지
  • 분홍색 수련글 내용

    시기가 좀 늦어서 꽃잎이 시드른듯 하다. ^^

    좋아요1
    댓글2작성시간2025. 9. 28.
    게시글 이미지
  • 열린 숲 공원글 내용

    가을빛이 물들기 시작하는 마곡나루 열린숲 공원이조경이 잘 꾸며지고 멋진 곳이다.조석으로 서늘한 기온이 이곳에 도착 했을때는 태양빛이 얼마나 따갑던지나무 그늘을 찾아서 다니며 사진을 담다...

    좋아요2
    댓글4작성시간2025. 9. 26.
    게시글 이미지
  • 꽃무릇 ( 石蒜 )글 내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본래 이름은 돌 틈에서 나오는 마늘종 모양을 닮았다 하여 석산화(石蒜花)'라고 한다.화엽불상견(花葉不相見) 꽃이 진 후에야 잎이 돋아나는 꽃무릇은 결코 만날 수 없는 애절한 사랑을 보여주는 듯하다해서 상사화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잎이 지고 난 후에 꽃이 피는 상사화와는 엄연히 다르다.꽃 색깔도 꽃무릇은 짙은 선홍빛인데 비해 상사화는 연보랏빛이거나 노란빛을 띤다.개화 시기에도 차이가 있다 상사화는 7월 말쯤 피어나지만 꽃무릇은 9월 중순이 되어야 개화한다.

    좋아요2
    댓글2작성시간2025. 9. 24.
    게시글 이미지
  • 맥문동글 내용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아시아를 원산지로 삼고 그늘진 곳에서 주로 서식한다. 길이는 약 30cm에서 50cm 정도이고 잎끝은 밑으로 숙이고 있으며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는다. 꽃은 5~6월에 연한 보라색을 띠고 무리 지어 피어나고 열매는 푸른색이 감도는 흑색으로 익는다. 때에 따라 땅속줄기가 흰색 덩어리로 변하는데 이것을 봄과 가을에 캐서 껍질을 벗겨 햇볕에 잘 말려 한방의 약재로 쓰이고 어린 잎과 줄기를 식용한다.

    좋아요2
    댓글2작성시간2025. 9. 20.
    게시글 이미지
  • 여름 날에 흔적글 내용

    화려 했던 여름날의 흔적이 좀 쓸쓸해 보이지만가을이 오면 또 단풍으로 물들어 예쁜 그림이 그려 지겠지,,,

    좋아요3
    댓글4작성시간2025. 9. 15.
    게시글 이미지
  • 지난 여름글 내용

    그리 덥던 여름 날씨도 서서히 지나가고조석으로 시원한 날씨가 활동 하기에 너무 편리하다,

    좋아요1
    댓글1작성시간2025. 9. 13.
    게시글 이미지
  • 동 틀 무렵글 내용

    이른아침 하루를 시작하면서 바라보는 풍경이좋은 일만 생길듯,,,

    좋아요3
    댓글4작성시간2025. 9. 12.
    게시글 이미지
  • 메 꽃글 내용

    당연하게도 메꽃과에 함께 속하는 친척뻘인나팔꽃과 언뜻 꽃모양이 비슷해서 처음 보는 사람들은 혼동하지만 차이점을 알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처음 싹을 틔워 잎을 낼 적에 나팔꽃은 본잎이 나오고 덩굴은 뻗지만 메꽃은 먼저 덩굴을 뻗은 뒤 본잎을 낸다. 꽃으로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나팔꽃은 색이 다양한 반면에 메꽃은 엷은 홍색 하나밖에 없고 나팔꽃은 오후가 되면 시들어버리는 반면에 메꽃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차이점이고 또한 이파리도 메꽃이 나팔꽃보다 더 길다랗다. 나팔꽃은 원산지인인도에서는 여러해살이지만 그보다 북쪽인 우리나라에서는 1년밖에 못 사는 한해살이풀 반면 메꽃은 여러해살이풀이며고구마유홍초와도 닮았는데 당연히 이 둘도 메꽃과에 속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생태가 비슷함. 당..

    좋아요2
    댓글3작성시간2025. 9. 12.
    게시글 이미지
  • 전통 가옥의 정원글 내용

    날씨가 흐린날 담다보니 하늘에 구름이업어서 아쉬 웠다

    좋아요2
    댓글2작성시간2025. 9. 9.
    게시글 이미지
  • 홍 연 ( 紅 蓮 )글 내용

    서울 식물원 가는 입구에 연꽃과 수련꽃이 있는데아직 심은지 얼마 안되어서 개체수가 작지만 2~3 년후쯤은 보기 좋을것 갇다 .

    좋아요2
    댓글4작성시간2025. 9. 5.
    게시글 이미지
  • 목장 풍경글 내용

    오클랜드 시내에서 중식을 한후 목장을 찾아 보았는데 양과 라마가 사람들이 경계를 하지안고먹이를 달라고 애교를 부리며 따라 다니는 모습이 참 신기하고 평화로워 보였다.

    좋아요1
    댓글3작성시간2025. 9. 1.
    게시글 이미지
  • 하얀 연꽃글 내용

    오염된 세상에서 순수함을 그대로 지키며바라보는 사람의 마음을 다스릴줄 알기에 연꽃은 이슬도 머금지 안는자.박우복 / 시인의 한 구절이 좋와서 적어봄

    좋아요3
    댓글4작성시간2025. 8. 26.
    게시글 이미지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 Kakao Corp.